DispathcherServlet
- 웹 어플리케이션 최전방에서 사용자 요청을 접수
- URL을 기준으로 요청을 처리할 Controller를 찾음
- 해당 COntroller를 호출 및 실행
1) Front Controller가 Controller를 결정해준다.
2) URL기준으로 찾을때 대부분 자동으로 처리해준다.
Controller
- 사용자 요청(URL 기반)에 해당하는 Controller의 특정 메소드가 호출됨
- Controller는 요청의 파라미터가 있으면 처리하고
- 비즈니스 처리를 위해서 서비스 컴포넌트를 주입 받아서 실행
- 실행된 결과를 전달받아(화면에 대한 정보와 함께=view) DispathcherServlet에게 반환
사용되는 Annotation
- @Controller
- @RequestMapping
- @AutoWired
@RequestMapping
클래스 Lv + 메서드 Lv 합치는 방법
/bbs/list를 한번에 클래스Lv에서 선언
@RequestMapping("/bbs/list") + http method(get,post,put,delete)
요청 URL을 파라미터로 사용(경로변수)
articleid : 아티클아이디(=URL 변수) 웹 페이지 마다 다르다.
@AutoWired로 자동으로 객체생성 xml에 넣어서 따라서 Controller에서 별도로 작성할 필요x
정리
'Spring > [강의] Spring Frame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10강] Restful API (0) | 2021.02.18 |
---|---|
[Spring 9강] HTTP 파라미터 처리 (0) | 2021.02.18 |
[Spring 강의 7강] Spring MVC 소개 (0) | 2021.02.17 |
[Spring 6강] - Layered Architechture (0) | 2021.02.16 |
[Spring 강의 5장] - Dependency Injection (0) | 2021.02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