명령어 | 내용 |
ls | 현재 위치의 파일 목록을 조회하는 명령어 |
cd |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 |
touch | 파일의 용량이 0인 파일을 생성, 날짜 변경하는 명령어 - touch filename : filename의 파일을 생성합니다. - touch -c filename : filename의 시간을 현재시간으로 변경합니다. - touch -t 2000020202020 filename : filename의 시간을 날짜정보로 변경합니다. |
mkdir (make directory) | mkdir은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 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. - mkdir dirname : dirname의 디렉토리를 생성함 |
cp (copy) | cp는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 - cp file cfile : file을 cfile이라는 이름으로 복사합니다. - cp -f file cfile : 복사할 때 복사대상이 있으면 지우고 강제로 복사합니다. |
mv (move) | mv는 파일을 이동하는 명령어 입니다. cp와 비슷하지만 다른 점은 cp는 파일을 복사하여 원본 파일이 남아 있지만 mv는 원본 파일이 남지 않는다는 점 입니다. - mv fname mfname : fname의 파일을 mfname의 이름으로 이동/변경 합니다. |
rm (remove) | rm은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. - rm fname : fname을 삭제합니다. - rm -f fname : fname을 묻지 않고 삭제합니다. |
cat (catenate) | cat은 파일이름을 인자로 받아서 그 내용을 출력할 때 사용합니다. - cat fname : fname의 내용을 출력합니다. - cat fname1 fname2 : fname1과 fname2의 내용을 이어서 출력합니다. |
redirection('>','>>') | redirection은 리눅스 스트림의 방향을 조정하는 명령어이다. 명령>파일 : 명령의 결과를 파일로 저장합니다. 명령>>파일 : 명령의 결과를 파일에 추가합니다. - cat fname4>>fname3 : fname3에 fname4의 내용을 추가합니다. |
alias | alias는 자주사용하는 명령어를 간단한 명령어로 설정하는 방법이며 해제할 때는 unalias를 사용합니다. - alias new = 'command' : command를 실행하는 새 명령어 new를 만듭니다. |
ifconfig | 리눅스에서 할당받은 IP주소를 확인 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|
'개인공부 > ICT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CT상식] API 종류 (0) | 2020.12.09 |
---|---|
[REST] HTTP/HTTPS 와 REST API 개념 (0) | 2020.11.29 |
[멀티 쓰레드(Multi Thread)] (0) | 2020.11.16 |
[ICT상식] 데이터 베이스 + 기타 IT 상식 (0) | 2020.11.07 |
[ICT 상식 : 운영체제] (0) | 2020.11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