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- 단방향 통신
- 한쪽 방향으로 전송이 가능한 방식(라디오,TV)
- 반이중 통신
-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양쪽 방향에서 전송할 수 없는 방식(무전기)
- 전이중 통신
- 동시에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방식(전화, 전용선 데이터통신)
- 비동기식 전송(간헐적)
- 문자 코드 앞뒤에 Start bit와 Stop bit를 붙여서 바이트와 바이트를 구별하여 전송하는 방식
- 2000bps 이하의 저속, 단거리 전송
- 문자마다 시작 정지를 알리기 위해 비트가 추가되므로 효율이 떨어짐
- 동기식 전송(연속성)
- 문자영르 한 프레임을 만들어 일시에 전송하는 방식
- 프레임 단위 전송이므로 전송이 빠름
- 휴지 시간이 없으므로 전송효율이 큼
- 원거리 전송에 사용
- 단말기는 반드시 버퍼 기억장치에 내장
- 오류 검출 방식
- 패리티 검사
- 전송 비트에 1비트인 패리티를 추가하여 오류검출
- 가장 간단하지만 2개의 비트에 오류가 동시에 발생하면 검출 불가
- 오류 검출만 가능 수정은 불가
- 순환 중복 검사 (CRC)
- 다항식 코드를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
- 동기식 전송에 주로 사용
- HDLC 프레임의 FCS를 만드는데 사용
- 집단 오류 검출할 수 있고 검출률이 높아 가장 많이 사용됨
- 해밍코드
- 수신측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를 직접 수정하는 방식
- 1비트의 오류만 수정이 가능하며 정보 비트이외에 비트가 많이 필요함
- 전송 비트중 2^n 번째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 비트로 사용
- 상승 코드
- 순차적 디코딩과 한계값 디코딩을 사용하여 오류 수정
- 여러 비트오류 수정 가능
- 자동 반복 여청 제어 방식(ARQ)
- 통신 경로에서 오류 발생 시 수신측은 오류의 발생을 송신측에 통보, 송신측은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오류 제어 방식
- 정지-대기 ARQ(Stop and wait ARQ)
- 수신측에서 오류의 발생을 점검 후 에러 발생 유무 신호 (ACK/ NAK) 신호를 보내올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
- 연속 ARQ(Coninuos ARQ)
- Go-Back-N_ARQ
- 수신측으로부터 NAK수신시 오류 발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
- 선택적 재전송 ARQ (Selecive-Repeat ARQ)
- NAK 수신 시 오류가 발생한 블록만 재전송 하는 방식
- 적응적 ARQ(Adaptive ARQ)
- Go-Back-N_ARQ
- 패리티 검사
- LAN(근거리_통신망)
- LAN의 특징
- 제한된 지역 내의 통신
- 망에 포함 된 자원 공유
- 오류발생률이 낮다
- 성형, 버스형, 링형 망 형태
- IEEE 802의 표준 규격
- 802.8 고속 이더넷
- 802.11 무선 LAN wifi
- 802.15 블루투스
- LAN의 특징
- VAN(부가가치 통신망)
- 단순한 정보의 수집 전달 이외에 부가가치를 부여하는 통신망
- UDP
- 비연결형 프로토콜
- 복구기능 X
- TCP/IP의 계층화 모델중 Transport 계층에 사용
- 비연결형 프로토ㅗㅋㄹ
- TCP/IP
- TCP프로토콜과 IP프로토콜의 결합
- TCP가 IP보다 상위층
- 인터넷 기본 프로토콜
- TCP
- 전송계층
- 오류제어, 흐름제어, 순서제어, 패킷다중화
- 연결형 프로토콜
- IP
- 네트워크 계층
- 패킷 분해/조립, 호스트 주소 지정, 경로 선택
- TCP
반응형
'개인공부 > ICT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CT 상식 : 디지털 상식] (0) | 2020.11.06 |
---|---|
[ICT 상식] 디지털 상식 (빅데이터, 클라우드, 인공지능, 블록체인보안 이슈 정리 + IT 기타 상식) (0) | 2020.11.05 |
[ICT 상식]소프트웨어 공학 (0) | 2020.11.05 |
컴파일(compile) / 인터프리터 / 오브젝트(obj) / 고레벨, 저레벨 언어 (0) | 2020.11.05 |
[ICT 상식] (0) | 2020.11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