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XML을 이용한 스프링 설정파일 제작을 Java 파일로 제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학습
12-1-1 XML 파일을 Java 파일로 변경하기
기존방법 | java 파일로 변경(어노테이션이용) |
![]() |
![]() |
java config로 쓰는 방법
Annotation활용한다.
1) @Configuration
2) @bean
설정하기
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ctx =
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MemberConfig.class);
xml->java
xml | java | |
config | ![]() |
![]() |
new | ![]() |
![]() |
Java 파일 분리
여러 java로 config를 분리하여 유지보수를 쉽게 한다.
*일반적으로 기능에 따라서 분리한다. (Dao, Service, DB, Utills)
xml | java |
![]() |
![]() |
한개의 Config파일 | 다수의 Config파일 |
![]() |
![]() |
@Import 어노테이션
각각의 java config를 파일을 하나의 main에서 import 한다. 배열로 넣지않고 각각을 설정해주는 방식
config에서 import 해준다. | ![]() |
설정해준다. | ![]() |
반응형
'Spring > [인프런] Spring Frame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 MVC 웹서비스 (0) | 2021.12.29 |
---|---|
웹 프로그래밍 설계 모델(MVC) (0) | 2021.12.28 |
생명주기(Life Cycle) (0) | 2021.12.24 |
의존객체 선택 (0) | 2021.12.24 |
의존객체 자동 주입 (0) | 2021.12.23 |